흉부X선 촬영 (사진=고려대 구로병원 제공)

[뉴스인] 김동석 기자 = 결핵은 결핵균으로 인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전염성 질환이다. 그중 폐에 균이 가장 침범하기 때문에 폐결핵이 가장 많다.

폐결핵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병이 진행하면서 전신 권태감, 미열, 식은땀, 기침, 가래, 체중 감소, 객혈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조기 발견 시에는 약물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나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전반적인 면역기능을 약화시켜 각종 합병증이 나타나 사망까지 이를 위험이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감염되면 폐뿐 아니라 뇌와 신장 등이 망가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결핵은 환자가 기침, 재채기, 노래, 대화를 할 때 배출되는 가래방울에 결핵균이 섞여서 공기 중에 떠다니다 사람의 폐 속에 들어가 전염되기 시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체 생활을 하는 학생들이나 군인들에게 많이 발병하며 대부분 단체로 걸릴 확률이 높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노인이나 어린아이, 간질환이나 만성신부전증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발병할 확률이 높다. 스테로이드나 항암제 치료 등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약제를 투약 받고 있는 환자도 결핵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기침 2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 의심

결핵은 침범된 장기에 따라 증세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가장 많은 것이 폐결핵인데, 주 증세는 미열, 체중 감소, 오한 등이다. 처음에는 감기와 같은 증세가 계속되다가 만성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정확한 발병 시기를 모를 때가 많다.

이러한 주 증세 외에 기침, 가래, 가슴통증, 호흡곤란, 권태감, 식욕부진 등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환자에서 발병이 되어 있어도 아무런 증세 없이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정기적으로 검진을 하지 않으면 발견되지 않을 때도 있다.

기타 장기의 경우 늑막염일 때는 흉통,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의 자각증세가 있고, 장결핵일 때는 전신증세 외에 복통, 설사, 헛배 등이 따른다. 림프선 결핵은 전신증세는 심하지 않고 목 주위의 림프선이 비대해져서 혹같이 만져진다. 신장 결핵일 때는 소변에 적혈구, 백혈구가 보이고, 심하면 고름과 같을 때도 있다.

◇6개월 이상 꾸준히 약 복용해야

결핵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가슴 X-선 촬영을 해보고 확진을 위해 객담(가래)검사를 하게 된다. 결핵의 X-선 검사 소견은 매우 다양하며 폐암, 폐농양, 폐렴, 진폐증 등과 같은 다른 질환과 감별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결핵 의증 또는 의사 결핵이라고 한다.

객담 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되면 확실한 진단이 된다. 객담검사에는 직접 도말검사, 배양검사, 약제 감수성검사 PCR법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면역 반응 검사, 기타 혈액검사 등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폐 이외의 장기에 침범한 결핵은 각각 그 장기에 대한 검사를 따로 해야 한다.

결핵은 근본적으로 내과적인 질병이고 적절한 치료로 완치 가능하다. 최소한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이고 중단이 없는 규칙적인 약물 복용이 필요하다.

약제 복용은 철저하게 의사 지시를 따라야 하며 약물 복용 시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환자 자신이 임의로 결정핳기 보다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환자 임의의 투약 중지 및 변경은 결핵균이 약에 듣지 않도록 내성을 키워주는 결과가 초래되어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보다도 더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능하면 본인이 복용하는 약의 이름을 알고 있어야 한다.

하루에 한번, 아침식사 1시간 내지 30분 전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치료를 제대로 받으면 대부분 약 복용 후 2주일이 지나면 전염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일반 건강 상태가 불량하지 않으면 평소의 활동을 금할 필요도 없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금할 필요도 없으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지장이 없다.

그러나 치료 시작 전에 타인에게 전염시켰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결핵 환자와 같이 거주하는 가족들, 특히 어린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병원 진찰을 받아야 한다.

8일 고려대 구로병원 호흡기내과 심재정 교수는 "결핵은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는 결핵 도말로 전파되기 때문에 결핵이 의심되거나 확진이 된 경우 반드시 손수건을 이용해 입을 가리거나 옷소매로 입을 가리고 기침을 하도록 해야 한다"며 "이런 간단한 기침 예절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집단 감염 발생 확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