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없는 교육가회가 바라본 아프리카

*아프리카 하면 무엇이 떠오르십니까. 굶주림과 질병, 자연재해로 고통받는 검은 대륙, 혹은 해외여행기를 담은 TV 프로그램 속 이국적 모습일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교육개발협력사업을 수행해온 국경없는 교육가회(EWB, Educators Without Borders) 구성원들이 몸소 겪고 느낀 다채로운 아프리카 이야기를 뉴스인에서 연재합니다. EWB는 지난 2007년 개발도상국 교육권 확대를 위해 설립된 비정부단체입니다. -편집자주

콩고민주공화국 지도와 국기 (사진=google 이미지)

[뉴스인] 이세진 = 얼마 전 지인과의 모임에서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온 한 목사님을 만났다. 자기소개를 하다가 자연스럽게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 “우리 단체는 교육을 통해 개발협력을 하는 NGO이고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국가에서 주로 사업을 해요.” 특히 부르키나파소에서는 꽤 오랫동안 극빈농촌여성을 대상으로 사업을 해왔고 올해는 양계사업을 시작했다고 하니 큰 관심을 보였다.

그러고 나서 지금 사업하는 국가 외에 다른 국가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 있냐고 물었다. 물론 그렇게 하고 싶지만 사업을 계획하고 자금을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문득 그가 중년의 나이까지 살아온 자신의 나라, 자신의 마을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업이 무엇인지 들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우리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개발협력사업을 한다면 어떤 형태의 사업이면 좋을까요?”

콩고민주공화국 전쟁 난민 (사진=Mali, dailymail)

◇ 콩고민주공화국의 전쟁난민

거의 주저하지 않고 나온 대답은 ‘군사지역에 있는 여성과 아이들을 위한 협력사업’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여성들에게는 소규모 상업을 할 수 있는 기술교육과 소액대출 등으로 재정을 마련해주어야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고 그 아이들이 교육을 받아야 더 나은 다음세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맥락의 설명이었다. 군사지역의 아이들은 거의 학교에 가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영토를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다이아몬드, 금, 구리, 휴대폰 및 전자제품을 만들 때 쓰이는 콜탄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외부의 수탈과 반군의 무분별한 채취, 부패한 정부 등으로 인해 그 이익이 자국의 발전을 위해 거의 쓰이지 못했다. 1990년대부터 21세기까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내전으로 국가에는 기본적인 인프라도 구축돼 있지 않고 최빈국의 형편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며 수많은 주민들은 난민이 됐다.

콩고민주공화국 난민캠프 주민들, 오른쪽 아래 아이들이 보인다. (사진=Mali, dailymail)

◇ 내전의 폐허 속 희망을 심을 수 있는 사업

우리가 외국인으로서 군사지역에 들어가는 것이 너무 위험하지는 않은지, 교육을 담당할 현지인 파트너를 구할 수 있는지 등의 이야기를 조금 더 나누고 대화를 마무리했다.

사뭇 진지하게 자국의 필요를 설명하는 그의 모습을 보면서 내가 하는 일이 누군가에게 절실히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됐다. 우리가 얼마나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겠냐고 생각할 수도, 오랜 시간 투자해도 여전히 그대로인 것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스로 일어날 힘이 없는 이들에게 마중물과 같은 도움이 필요한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도움을 주기 위해 전문성이 필요한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내전이라는 문제 상황 속에 사람을 가르치고 변화시키기 위한 사업은 희망을 심는 일인 것 같다. 언젠가 그 군사지역의 아이들이 교육을 받고 국가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꿈을 마음에 품게 되길 기대해 본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